김지은평론가
-
권정민 작가의 그림책 이야기눈송이 스튜디오/작가와의 만남 2021. 8. 17. 15:59
권정민 작가의 그림책 이야기 안녕하세요. 지난 겨울 김지은 아동청소년문학평론가가 김동수 작가를 초대해 감동적인 이야기를 나누었던 ‘그림책 이야기’를, 이 여름의 끝에 권정민 작가님을 초대해 이어가려고 합니다. 8월 28일 토요일 저녁 7:30, 권정민 작가님과 김지은 선생님이 함께할 줌-라이브 ‘권정민 작가의 그림책 이야기’는『엄마 도감』과 『이상한 나라의 그림 사전』을 중심으로 펼쳐집니다. 『지혜로운 멧돼지가 되기 위한 지침서』와 『우리는 당신에 대해 조금 알고 있습니다』를 함께 읽고 참여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일시: 8월 28일(토) 저녁 7시 30분 -참가비: 1만5천원 -신청방법: 링크를 통해 신청서를 작성하신 후 우리은행 1005-503-535474 (주)책방오늘 계좌로 참가비를 입금해 주세요..
-
김동수 작가의 그림책 이야기눈송이 스튜디오/작가와의 만남 2020. 12. 16. 19:24
김동수 작가의 그림책 이야기 오는 12월 26일(토) 오후 2시, 눈송이 스튜디오에서 열리는 첫 작가와의 만남에 초대합니다. 《감기 걸린 날》 《잘 가, 안녕》(보림출판사)을 쓰고 그린 김동수 작가와 김지은 평론가가 만나 그림책에 대해 가슴 뛰는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입니다. 김동수 작가님과 김지은 평론가님은 책방의 스튜디오에 찾아오시지만, 안타깝게도 현재 방역 단계가 높아 줌라이브zoom-live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외부 지원 없이 책방에서 진행하는 행사이며 1만원의 참가비를 받습니다. 참여를 원하신다면 참가비를 책방 계좌로 입금해주시고 manager@onulbooks.com으로 성함과 연락처를 남겨주세요. 행사 30분 전 메일을 통해 줌라이브 링크를 보내드립니다. 김동수 작가님이 보여주실 그림들, 김..
-
몽땅 읽기 워크숍: 김지은 평론가와 함께 읽는 토베 얀손눈송이 스튜디오/워크숍·강좌 2020. 6. 10. 16:29
책방오늘, 몽땅 읽기 워크숍 - 김지은 평론가와 함께 읽는 토베 얀손 6월에 어울리는 작가, 토베 얀손Tove Jansson의 작품 세계를 『토베 얀손, 일과 사랑』과 『여름의 책』을 중심으로 함께 읽는 '몽땅 읽기' 워크숍에 초대합니다. - 일시: 6월 30일(화) 저녁 7시 30분 - 장소: 책방오늘, - 정원: 9명 - 참가비: 3만원 - 신청방법: 우리은행 1005-503-535474 (주)책방오늘 계좌로 참가비를 입금하신 뒤, 성함과 연락처를 manager@onulbooks.com으로 남겨주세요. (취소와 환불은 워크숍 5일 전, 오후 5시까지 가능합니다.) * "사랑은 참 이상해." 소피아가 말했다. "사랑은 줄수록 돌려받지 못해." "정말 그래." 할머니가 말했다. "그럼 어떻게 하지?" "..
-
몽땅 읽기 워크숍: '키티 크라우더'의 작품 읽기눈송이 스튜디오/워크숍·강좌 2020. 1. 11. 15:25
책방오늘, 몽땅 읽기 워크숍 키티 크라우더 ㅡ 불안의 재현과 능숙한 안도의 서사 '몽땅 읽기 워크숍'은 한 작가의 작품을 모두 음미하고 조망하는 시간입니다. 1월의 첫 워크숍에서는 벨기에의 그림책 작가 키티 크라우더(Kitty Crowther)의 작품들을 김지은 평론가와 함께 읽어요. "키티 크라우더의 그림은 많은 사람들에 의해 다루어졌지만, 그의 글과 서사의 독특함은 충분히 이야기된 적이 없습니다. 그의 인물, 사건, 이야기 전개 방식에 초점을 두어서 이야기를 나누려고 합니다." - 김지은 (아동청소년문학평론가) - 일시: 2020년 1월 29일(수) 저녁 7:30 - 장소: 책방오늘, (서울시 서초구 바우뫼로 154, 1층) - 정원: 12명 - 참가비: 4만원 (그림책 두 권 포함) - 신청방법: ..
-
한 걸음 더 워크숍: 『왕자와 드레스메이커』 깊이 읽기눈송이 스튜디오/워크숍·강좌 2020. 1. 4. 17:30
책방오늘,에서는 새해부터 ‘한걸음 더 워크숍’을 엽니다. 그 첫 시간, 겨울 내내 열렬한 화제를 몰고 있는 그래픽 노블 를 한걸음 더 깊게 이야기 나눠보려 합니다. 이 책을 번역하신 김지은 아동청소년문학평론가와 윤경희 문학평론가가 만나 흥미진진한 자료들과 함께 이 책의 역사-사회-문화적인 읽기의 맥락을 살피고, 한 권의 책이 불러일으키는 다양한 생각과 파장들을 독자들과 나누는 시간입니다. 드레스코드는 드레시(dressy). 어쩐지 스스로 드레시하다고 느껴지는 무엇이어도 좋습니다. 젠더에 매이지 않는 드레시함이면 충분합니다. - 일시: 1월 15일 수요일 저녁 7:30 - 장소: 책방오늘, - 진행: 김지은 아동청소년문학평론가/윤경희문학평론가 - 참가비: 1만원 - 신청방법: 우리은행 1005-503-53..